오늘은 교통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통사고는 운전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개인별로 따져 보면 평생 몇 번 겪지 않는 일로 실제 발생 시 당황할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 대처 방법 간략 정보
- 사고 발생 시 2차 사고 예방이 우선, 차량을 갓길에 주차 후 도로 밖으로 대비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합니다.
- 사고 상황을 알 수 있게 사고 현장 사진, 영상 등을 남겨놓습니다.
- 과실 비율 등 책임임 경찰, 보험사가 판단하므로 사고 현장에서의 감정적 대응은 하지 않습니다.
교통사고 대처 방법 자세히 알아보기
1. 안전확보(2차 사고 예방)
사고 직후 가장 먼저 본인, 동승자가 있다면 동승자의 상태까지도 확인을 합니다. 사고의 경중을 확인합니다. 구급차를 불러야 할 정도의 큰 사고인지, 가벼운 접촉사고인지 확인합니다. 차량의 연료가 새거나 화재의 위험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차량 밖으로 나온 후 즉시 비상등을 켜고 차량을 갓길로 이동시키고 차량 내에 있던 사람은 도로 밖으로 대피합니다.
2. 경찰 또는 보험사 신고
가벼운 접촉 사고 정도라면 보험사 신고만 하셔도 됩니다. 다만, 사고로 사람이 다치거나 차량의 파손 상태가 심각, 사고에 대한 책임 주장이 너무 상반된다면 경찰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보험사에 신고할 경우 가급적 빠르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고 현장 위치, 사고 경위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최근에는 대부분 보험사에서 모바일 어플로 사고 사진 전송, 접수 내역 확인 등이 가능하다고 하니 초행길에서 사고가 났다면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현장 사진 및 영상 확보
현장 사진을 촬영합니다. 차량의 위치, 상대 차량과의 거리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여러 각도에서 촬영합니다. 주변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진 상태에서도 사진을 찍습니다. 차량 사고 부위만을 찍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블랙박스 영상이 있다면 잘 저장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메모리 용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충격으로 인해 저장된 영상은 5일 이상 저장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벼운 사고로 사고 처리 후 운전이 가능하다면 집에 가서 영상을 저장하시고, 차량 파손이 심해 견인을 해야 한다면 영상이 지워지지 않도록 메모리카드를 분리해 보관하도록 합니다.
4. 보험 접수 후 사고 접수 번호 확인, 상대 차주 인적 사항 확인
현장을 떠나기 전 보험 접수 번호를 확인합니다. 어느 보험회사인지 확인하고, 상대 운전자의 이름, 연락처, 생년월일 등을 확인합니다.
사고 이후 보상 절차
차량 수리 견적 요청, 정비소 선택
차량 파손에 대한 수리가 필요하다면 정비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보험사에서 관련 업체를 소개해 줍니다만 본인이 주소 거래하는 정비소가 있다면 견적을 요청해 수리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렌터카 사용 여부
차량 수리 기간 동안 1일 당 소정액의 교통비를 지원받을 수도 있고, 렌터카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보험사에 확인하여 이용 조건을 확인하신 후 사용하셔야 합니다.
보상 범위
자동차 사고 시에는 차량 수리뿐만 아니라 병원 진료비, 위자료 등이 포함됩니다. 사고 당시 몸에 이상이 있다면 대인 접수도 동시에 진행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보험사와의 통화 내용은 녹음을 하거나 메모를 하여 추후 분쟁이 발생되지 않도록 대비합니다.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워셔액 종류, 종류별 기능 알아보기 (0) | 2025.06.21 |
---|---|
장마철(폭우) 운전 시 준비사항, 대처방법 알아보기 (0) | 2025.06.19 |
레이 앞유리, 뒷유리 와이퍼 교체 방법 (0) | 2025.06.12 |
페달 블랙박스 도입, 보험료 할인 가능 (2) | 2025.06.10 |
캠핑, 차박을 위한 준비물 알아보기 (3) | 2025.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