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빗길 안전 운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제 봄이 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비가 자주 오고 있습니다. 비가 올 때는 운전 시에 어떤 부분을 조심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빗길 안전 운전 위한 차량 확인 사항
낮에도 전조등 혹은 미등 켜기
요즘 나오는 차량은 자동으로 낮에도 미등이 켜지게 되어 있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이긴 합니다. 또한, 자동으로 외부 환경에 따라 전조등이 켜고 꺼지는 옵션이 기본적으로 탑재된 차량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능이 없는 차량의 경우 운전자의 판단하에 전조등을 켜거나 끄셔야 합니다.

타이어 점검 하기
타이어 상태에 따라 빗길에서 차량이 미끄러지기 쉬운 경우도 있습니다.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가 심하다면 도로와 타이어 사이의 수막현상이 더욱 가속화되어 미끄럼으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이 올라갑니다. 그래서 타이어 점검을 미리 해두셔야 합니다. 통상 4만~5만 km 정도 주행하면 타이어 교체 시기에 도달한다고 하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이드 미러 열선 켜기

비가 오게 되면 사이드미러에 물방울이 맺혀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아무래도 차선 변경, 주차 시에 시야에 방해를 받게 되면 사고의 위험성도 올라갑니다. 사이드미러 열선을 켜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관련 글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사이드미러(백미러) 습기제거 열선 사용방법
오늘은 자동차 사이드미러 습기제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습기제거를 위해서는 열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자동차 운전석 주변 버튼을 아무리 찾아봐도 사이드미러 열선 버튼이
stfusr.tistory.com
빗길 안전 운전 위한 주행 시 지켜야 할 사항
평소보다 30% 이상 감속하기
같은 속도로 주행하다 브레이크를 밟더라도 마른 노면보다 젖은 노면에서 제동거리가 약 1.8배 정도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빗길 운전 시에는 평소 주행속도, 고속도로 제한 속도보다 30% 정도는 감속해서 운전하시는 것이 안전 운전을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로 양쪽 끝 차선 주행 자제하기
도로에는 배수를 위해 양 끝이 중앙보다 낮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많은 양의 비가 오게 되면 배수로 쪽으로 물이 고이게 되고, 고인 물 위로 차량이 빠른 속도로 지나가게 되면 차량이 통제력을 상실해 추돌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고속도로 1차로에서 고속 운행 중 물을 밟고 지나가게 되면 그 물이 반대편 차량 앞유리에 그대로 튀게 되어 상대 차량의 시야를 가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빗길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차량점검 사항, 운행 중 지켜야할 사항을 구분하여 알려드렸으니 잘 숙지하셔서 빗길 운전 시 안전 운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일필터와 에어클리너, 엔진오일과 함께 교환하는 이유 (0) | 2025.04.12 |
---|---|
자동차 스마트 크루즈(ACC) 사용방법, 주의 사항 알아보기 (0) | 2025.04.09 |
휠 얼라인먼트, 휠 밸런스 꼭 해야하나 (0) | 2025.04.04 |
싼타페 주유구 여는 방법(버튼) 알아보기 (1) | 2025.04.02 |
레이 기어 중립 방법 (1)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