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도로에서 볼 수 있는 단속카메라의 유형과 각 유형의 작동원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요즘은 경찰이 직접 단속하기보다는 무인 단속카메라로 위반자를 색출하니 관련 내용을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자동차 단속카메라 유형
- 고정식 단속카메라 : 주로 신호등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카메라로 '신호 과속 단속장비'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 이동식 단속카메라 : 주로 길가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카레라로 '무인카메라 단속 중'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유형입니다.
- 구간 단속카메라 : 구간 단속은 구간의 처음과 끝에 설치된 카메라입니다. 구간을 달리는 평균 속도를 계산합니다.
그럼 각 단속카메라 유형별로 그 작동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유형별 카메라 작동 원리
고정식 단속카메라

고정식 단속카메라는 센서가 카메라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도로 밑에 2개의 센서가 있습니다. 차량이 지나갈 때 평균속도를 측정합니다. 속도를 초과했을 경우 센서가 카메라에 신호를 보내 차량 번호판을 촬영합니다. 단속을 피하고자 카메라 앞에서 급하게 속도를 줄이면 후방추돌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동식 단속카메라

이동식 단속카메라는 카메라를 옮겨서 설치를 하기 때문에 이동식이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이동식 단속카메라에서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원리는 카메라가 레이저를 발사해서 차량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를 계산합니다. 측정 거리가 1,000M 이상되니 카메라 앞에서 속도를 줄인다고 단속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구간 단속카메라

구간 단속은 말 그대로 구간의 평균속도를 측정합니다. 그래서 단속카메라 앞에서만 속도를 줄이는 차량을 단속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반응형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싼타페 워셔액 넣는 방법, 워셔액 용량 등 정보 (0) | 2025.01.20 |
---|---|
싼타페 리어와이퍼 워셔액 사용방법, 후진시 리어와이퍼 작동 설정 (0) | 2025.01.19 |
자동차 키즈락(도어락) 설정, 트렁크 여는 방법 (0) | 2025.01.15 |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확인, 경고등 표시 원인 알아보기 (0) | 2025.01.13 |
혼유 사고 유형, 대처 방법, 수리 비용 알아보기 (0) | 2025.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