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원인, 화재 예방법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전기차 화재 원인, 화재 예방법 알아보기

by 싼타페 유저 2024. 6. 4.
반응형

오늘은 전기차 화재 원인과 화재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끔 뉴스를 통해 전기차 화재에 대한 얘기를 듣습니다. 사고 후 화재로 인한 인명사고도 발생하니 화재 원인과 예방법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전기차 화재 발생 현황

전기차_화재
전기차 화재 진압 훈련 현장 (출처 : 연합뉴스)

 

전기차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전기차 화재에 대한 발생 빈도도 높아가고 있습니다. 주차나 정차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빈도가 일반 내연기관차에 비해 2배가량 높다고 합니다. 최근 3년간의 전기차 장소별 화재 현황을 보면 주차장에서 일어난 화재가 35%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화재 원인

  • 차량 자체 결함
  • 배선 및 기타 부품 불량
  • 과충전
  • 알 수 없는 외부요인

전기차 화재 요인은 다양합니다. 전기차는 일반 차량과 달리 한번 화재가 나면 차량 전체로 불이 번져서 그 피해가 크고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최근 고전압 배터리 화재 사고가 많다는 것입니다.

 

전기차_고전압배터리_화재현황
고전압 배터리 화재 현황 (출처 : 국토교통부)

 

화재 현황을 보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고 2023년에는 전체 전기차 화재 건수 중 절반을 넘긴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전기차 화재 예방이 중요한 이유

화재 진압의 어려움

 

전기차 화재 진압이 어려운 이유는 배터리 열 폭주 현상 때문입니다. 배터리 열 폭주 현상이란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온도가 1,000도 이상 급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래서 일반 내연기관 차량보다 화재 진압이 어렵고 진압 후에도 배터리 재발화 위험성도 있습니다.

 

화재 진압이 어려운 다른 이유는 배터리가 보호 팩으로 쌓여 있기 때문입니다. 보호 팩으로 인해 소화 약제를 뿌려도 배터리 내부까지 닿지 않아 진화가 어렵습니다. 진화에 평균 1시간이 걸린다고 하는데, 이는 일반 차량 보다 약 2배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되는 것입니다.

 

전기차 화재 예방 방법

최대 충전율은 85% 미만으로

 

전기차 배터리 충전이 다 되었으면 충전을 중지해야 합니다. 충전이 다 되었음에도 차량을 방치하는 경우 과충전이 될 수 있습니다. 과충전이 될 경우 배터리 내에 침전물이 생겨 화재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충전율은 85%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완속 충전 이용하기

 

급속 충전은 시간이 짧아 편리하지만 잦은 급속 충전은 배터리 내부 전극 구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배터리 성능을 오래 유지하고 배터리 보호를 위해서는 가급적 완속 충전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전 구역 주변에 물건 방치하지 않기

 

2022년 7월 1일에 실시된 친환경자동차법에 따라 충전시설 주변에 물건을 방치하거나 주차를 하는 행위에 대해서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충전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 물건에도 불이 쉽게 옮겨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