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번호판 색상에 따른 분류
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차량 번호판 색상에 따른 분류

by 싼타페 유저 2025. 5. 5.
반응형

오늘은 차량 번호판에 대해 알아봅니다. 색상에 따라 번호판 종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

 

차량 번호판 구조와 의미

차량번호판-현재
차량번호판

 

차량 번호판 구조와 그 의미를 알려드립니다. 먼저 앞 세 자리 숫자차종을 나타냅니다. 승용차, 화물차, 특수차 등을 구분합니다. 가운데 한글자가용, 영업용, 택배차량, 렌터카 여부 등을 구분합니다. 마지막 숫자 네 자리차량의 고유 등록번호입니다.

 

색상에 따른 차량 번호판 구분 알아보기

차량번호판-색상별
차량번호판 색상별

 

흰색 번호판

 

흰색 번호판은 개인 소유의 승용차를 나타냅니다. 흰색 바탕에 검은 숫자와 한글로 구성된 번호판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가끔 녹색 번호판을 볼 수 있는데, 이는 2006년 이전에 등록된 차량에게 발급된 번호판이고 신규발급은 되지 않습니다.

 

노란색 번호판

 

노란색은 사업용 차량에 부여되는 색깔입니다. 주로 버스, 택시, 화물차에 부착합니다. 노란색 번호판은 지역명도 함께 표기됩니다.

 

하늘색 번호판

 

하늘색 번호판은 친환경 차량에 부착되는 번호판입니다. 전기차와 수소차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하늘색 번호판은 2017년부터 의무화되어 Electric Vehicle의 약자인 EV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연두색 번호판

 

연두색 번호판은 2024년 1월 1일부터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8천만 원 이상의 법인 소유 차량은 의무적으로 연두색 번호판을 부착하게 되었습니다. 신규, 변경 등록하는 차량으로 법인 소유, 1년 이상의 장기 렌트, 리스 차량도 연두색 번호판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8천만 원의 기준은 자동차 등록 원부상의 출고가(취득원가, 세금계산서 상의 공급가액)를 기준으로 합니다.

 

차량 번호판은 국가 고유의 문화를 반영

차량 번호판은 과거로부터 조금씩 변화하였습니다. 이는 우리 사회의 자동차 정책과 문화의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차량의 용도와 특성에 맞는 번호판을 발급함으로써 이용자에게 그에 맞는 책임감도 부여하는 것이겠지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