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속도제한 다른 이유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속도제한 다른 이유 알아보기

by 싼타페 유저 2024. 6. 24.
반응형

오늘은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의 속도제한이 구간마다 다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보호구역의 자동차 속도제한은 30km/h입니다. 하지만, 일부 구간은 20km/h 곳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차이를 알아봅니다.

 

반응형

어린이보호구역 속도 제한이 30km/h인 이유

보행자의 생존 확률 90%

 

자동차의 속력이 30km/h일 경우 보행자의 생존 확률은 90%가 넘는다고 합니다. 30km/h를 넘어가게 되면 보행자의 사망 확률이 가파르게 증가합니다. 그래서 어린이보호구역 속도 제한이 30km/h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어린이의 경우 30km/h의 속도에도 중상을 입을 수 있기에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속도제한 규정 도입은 2019년부터

 

이제는 모든 운전자에게 익숙한 어린이보호구역 30km/h 속도제한이 도입된 것은 2019년부터로 이제 5년 정도 되었습니다. 도입배경은 2019년 9월 충남 아산의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로 사망한 김민식 군 사고 이후 생긴 이른바 '민식이 법'입니다. 해당 법은 안전운전 의무 부주의로 어린이보호구역 내 사망, 상해 사고가 있을 경우 가해자를 가중처벌하는 내용입니다.

 

어린이보호구역
어린이보호구역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이란 평소에는 30km/h의 속도로 제한을 하지만 어린이를 포함한 보행자의 통행이 적은 시간대에는 제한 속도를 상향하는 것을 말합니다.

 

  • 심야 시간(오후 9시~다음 날 오전 7시) : 제한 속도를 40~50km/h로 상향
  • 등하교 시간(오전 7~9시, 낮 12시~오후 4시) : 제한 속도 30km/h 적용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시범지역 일반 운전자 400명과 학부모와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학부모와 교사 중 74.8%가 시간제 속도제한 운영에 찬성하였고, 일반 운전자의 75.1%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지역에 따라 어린이보호구역 20km/h 제한인 곳도 존재

어린이보호구역-제한속도-20km
어린이보호구역 제한속도 20km

 

서울시의 경우 제한속도를 20km/h로 적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서울시는 보호구역 종합관리대책을 통해 사고 위험성이 높은 50곳을 추가 지정해 제한속도를 20km/h로 낮췄습니다. 추진배경으로는 어린이보호구역 중 좁은 1-2차로 사고가 75.8%가 발생하고 2022년 발생한 5건의 사망사고 중 4건이 이면 도로 사고라는 점을 그 이유로 설명했습니다.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생각하는 어린이보호구역으로 거듭나고 있으니 운전자분들께서는 제한속도를 잘 확인하고 안전 운전하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