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부터는 5인승 이상 승용차에는 '자동차겸용' 차량용 소화기 비치가 의무화되었습니다. 과거 7인승 이상 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적용되었던 것이 이제는 5인승 이상 승용차에도 차량용 소화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종류, 설치 위치
소화기 종류: 자동차겸용 여부 확인 필요
소화기 라벨을 통해 '자동차겸용' 표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자동차겸용과 일반 소화기의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진동 검사 통과 여부입니다. 자동차는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차량용 소화기는 따로 상하진동 실험을 진행합니다. 진동이 있어도 소화기의 파손이나 변형이 없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소화기의 안정성 검증을 강화한 것입니다.
설치 위치는 어디?
소화기 설치 위치는 대부분 운전석이나 조수석 시트 아래, 운전석 시트 뒤 등 손이 닿기 쉬운 곳에 설치합니다. 위급한 상황에 바로 사용해야 하기에 소화기는 눈에 잘 띄고 바로 꺼낼 수 있는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트렁크와 같이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사용 방법
차량용 소화기를 비치해 두어도 그 사용 방법을 잘 모른다면 소용이 없겠죠? 소화기 사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긴다. 이때 화점에 너무 가까이 두지 않는다.
- 소화기를 바닥에 내려놓은 후 몸통을 잡고 안전핀을 잡아당긴다. 이때 손잡이를 쥐고 안전핀을 당기지 않는다.
- 한 손은 손잡이를, 한 손은 노즐을 잡고 화점을 향하게 한다.
- 소화기 완전히 될 때까지 약제를 화점을 향하여 골고루 방사한다.
차량용 소화기 관리 방법
그럼 차량용 소화기 관리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차량용 소화기에도 사용 기한이 있습니다. 보통은 10년인데 간혹 3년인 제품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소화기 손잡이 하단 측면에 보면 지시압력계가 있습니다. 보통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지시압력계를 확인해야 합니다. 지시압력계의 바늘이 초록색 범위 안에 있다면 정상입니다. 바늘이 초록색 범위 밖에 있다면 해당 소화기는 교체해야 합니다.
차량 화재는 초기 진압이 중요하기에 꼭 소화기를 비치하시고 사용 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안전 운전하시기를 바랍니다.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확인, 경고등 표시 원인 알아보기 (0) | 2025.01.13 |
---|---|
혼유 사고 유형, 대처 방법, 수리 비용 알아보기 (0) | 2025.01.11 |
겨울철 도로 블랙아이스 사고 현황, 안전운전 방법 알아보기 (0) | 2025.01.07 |
1종 보통 자동(오토)면허 알아보기 (0) | 2025.01.05 |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 NQ5 소식 알아보기 (3) | 2024.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