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겨울철 눈 내린 뒤의 블랙아이스에 대한 사고 현황과 안전 운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에는 주기적으로 눈이 옵니다. 도로 위 눈이 내린 뒤 녹았다가 새벽 시간 또는 그늘진 곳에서는 기온이 낮아 얼음이 얼 수 있습니다.

도로 블랙아이스 사고 현황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도로 결빙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총 3,944건으로 사망자 95명, 부상자 6,589명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도로 위 블랙아이스는 눈으로 식별이 어려워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도로 결빙 사고는 치사율이 일반 도로 보다 1.5배 높다고 하며, 고속도로에서는 3배 이상 높아집니다.
요즘처럼 기온이 낮고 눈이 내린 뒤에는 도로가 미끄러워 차량 제어가 어렵고 연쇄 충돌의 가능성이 높아지니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대처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운전 방법

블랙아이스 구간 피해 가기
도로 위 블랙아이스가 생기기 쉬운 곳은 터널 진출입구, 그늘진 도로, 교량 등 그늘이 지고 표면 온도가 낮은 구간입니다. 도로 위 얼음은 밤에 떨이진 기온으로 새벽에 형성이 됩니다. 따라서, 가급적 새벽 시간대 운전을 피하거나 그늘진 도로 등 구간을 피해 가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 확인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체크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차의 미끄럼 사고를 상당 부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얼어있는 도로에서는 마른 도로 위 보다 제동거리가 2~3배 길어집니다. 이런 상황에 타이어 공기압이 낮거나 마모가 심하다면 제동거리는 더욱 길어질 수 있습니다.
급격한 핸들조작, 급제동 금물
얼어 있는 도로 위에서는 작은 핸들 조작만으로도 차량이 크게 움직이거나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행 운전하며 핸들 조작을 서서히 해야 합니다. 또한, 갑자기 브레이크를 세게 밟는다거나 하면 차가 심하게 미끄러져 추돌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는 서서히 여러 차례 나눠 밟는 것이 사고 예방을 위한 방법입니다.
'자동차 정보와 교통 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유 사고 유형, 대처 방법, 수리 비용 알아보기 (0) | 2025.01.11 |
---|---|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화 알아보기 (0) | 2025.01.09 |
1종 보통 자동(오토)면허 알아보기 (0) | 2025.01.05 |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 NQ5 소식 알아보기 (3) | 2024.06.26 |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속도제한 다른 이유 알아보기 (0) | 2024.06.24 |
댓글